국제무역이나 수출입 업무에서 자주 등장하는 “화물인도동의서”와 “화물인도지시서(D/O, Delivery Order)”는 비슷해 보이지만 완전히 다른 문서입니다. 아래에서 개념·용도·차이점을 아주 명확하게 정리해드릴게요.
1. 화물인도지시서 (D/O, Delivery Order)
항목 | 내용 |
영어명 | Delivery Order (D/O) |
발행자 | 선사(또는 포워더) |
수령자 | 수입자 (또는 대리인) |
역할 | 수입자가 화물을 인도받을 수 있도록 항만 터미널에 지시하는 문서 |
조건 | 보통 선하증권(B/L) 원본 제출 후 교환 |
사용시기 | 수입자가 화물을 실제로 찾을 때 필요 |
특징 | 필수 서류, 터미널에서 화물 찾을 수 있게 만드는 ‘지시장’ 같은 역할 |
2. 화물인도동의서 (Cargo Release Consent / Delivery Consent)
항목 | 내용 |
영어명 | Cargo Release Consent / Delivery Consent |
발행자 | 선적인 수출자, 수입자, 또는 관계자 |
수령자 | 포워더, 선사 등 |
역할 | 화물의 인도에 대해 수출자나 수입자가 동의한다는 확인서 |
사용시기 | 화물 인도에 있어 제3자(예: 수입자가 아닌 다른 수하인)에게 화물을 넘길 때 주로 사용 |
특징 | 양도 동의, 인도 권한 확인 등에 활용. 법적 동의 확인 목적 |
차이점 비교
구분 | 화물인도지시서 (D/O) | 화물인도동의서 |
주 발행자 | 선사 / 포워더 | 수출자 / 수입자 등 |
목적 | 화물 인도 지시 (터미널에 명령) | 화물 인도에 대한 동의 확인 |
사용 대상 | 터미널 / 수입자 | 선사 / 포워더 / 제3자 |
사용 시기 | 화물 수령 직전 | 보통 B/L 없이 화물 인도 시 또는 권한이 불분명할 때 |
성격 | 공식 지시 문서 | 법적 책임 확인용 보완 문서 |
예시 상황
D/O 사용 예시:
수입자가 선사에 B/L 원본 제출 후 D/O를 받아 터미널에 제출 → 화물 인도
화물인도동의서 사용 예시:
수출자가 갑작스럽게 수입자 외 다른 사람에게 화물 인도해달라고 요청
→ 이때 화물인도동의서 작성해서 선사나 포워더에 제출, 책임 전가를 방지
결론
질문 | 답변 |
화물인도지시서(D/O)와 화물인도동의서는 다른가요? | ✔️ 네, 서로 다른 문서입니다. 용도와 발행 주체, 법적 성격이 다릅니다. |
둘 다 필요한가요? | ✔️ 보통은 D/O만 필요하지만, 상황에 따라 화물인도동의서 추가 요구될 수 있음 (예: B/L 문제, 수하인 변경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