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흔히들 말하는 직구는 포심 패스트볼을 말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구종이고 투수 뿐만 아니라 야수도 모든 기본 그립이 직구 그립 입니다.
캐치볼 할 때에도 기본적으로는 직구 그립을 잡고 던지는 것이 기본 입니다.
이름처럼 직구는 가장 변화가 적고 직선에 가깝게 날아가기 때문에 직구라고 불립니다.
실제로는 중력에 의해서 아래로 조금씩은 떨어지지만 공의 회전수(rpm)에 따라서
다르게 느껴지기도 하고요. 평균적인 rpm보다 수치가 높다면 실제로는 덜 떨어지므로
타자의 입장에서는 공이 떠오르는 것처럼 느껴지고 위력적으로 느껴지게 됩니다.
한국인 선수로 직구가 위력적인 투수로는 대표적으로 박찬호, 오승환, 김광현 같은 투수가 있습니다.
변화구는 직구와는 다른 그립을 잡고 던지고 야구공의 108개의 실밥을 활용해서 던지는 공으로 투수가 던진 공은 실밥을 따라 흐르는 공기에 의해 변화무쌍하게 변하게 됩니다. 축구로 따지면 감아차기의 느낌이 되겠죠?
아무튼, 대표적인 변화구로는 슬라이더, 커브, 포크(스플리터)가 있는데 이런 변화구들은 구속이 직구보다 느리면서 타자를 속이기에 좋습니다. 포크(스플리터)의 경우 직구처럼 가다가 마지막에 뚝 떨어지는 구종으로 국내 선수로는 조정훈 선수가 잘던졌던 바가 있으며, 프리미어12 국가대표 경기에서 오타니 쇼헤이 선수가 우리나라 선수들을 상대로 140km/h 중후반대의 포크(스플리터)를 던지면서 공략한 바 있습니다.
이름만 들으면 효율적이겠으나 변화구는 부상위험이 있기 때문에 투구를 함에 있어서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고요. 한국 프로야구는 변화구 투구가 많은 편에 속하지만 한화이글스의 문동주나 김서현 키움히어로즈 안우진(부상) 같은 강속구 투수들은 155km/h를 뛰어넘고 160km/h에 가까운 공들을 던지기 때문에 그만큼 이 직구가 위력적이라고 할 수가 있겠죠?
그래서 본론으로 돌아와서 야구 애니메이션에서 타자가 직구를 노리고 치려는 것은 변화구가 위력적인 투수이거나 그 투수가 뛰어나기 때문에 한구종만 노리기에 직구를 노리고 치는 것일수도 있고, 또 타자에 따라 기본 컨텍트를 직구에 맞춰놓고 대응해나가는 스타일도 있습니다. 타자가 직구를 노림에도 투수가 직구를 던지는 이유 역시 자신이 있어서 일수도 있고 그날 밸런스가 안맞아서 일수도 있고 이유는 다양하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오승환 선수 같은 경우는 알고도 못치는 직구라고 하였었죠.